헌법재판소 2022. 3. 31. 2021헌바 62형 외 (군형법 제60조의6 제1호 위헌청원(군사기지간 군인간 폭행죄에 대한 “형벌위반죄” 제외) 및 군사시설)
【요약】헌법재판소는 2022년 3월 31일 군형법 제60조의6이 군인등에 대한 처벌을 거부하는 죄의 적용을 배제하고 헌법에 합치한다고 전원일치로 판결했다.
(사건경과) 이 사건 헌법소원인은 군부대 및 시설 내에서 군인을 폭행한 혐의로 군사법원에 기소된 군인이다.
앞서 언급한 원고는 피해자가 처벌받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합의서를 법원에 제출했지만, 군형법 제60조 제1항은 군인을 구타할 때 처벌받기를 거부한 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군사기지나 군사시설에 있는 군인의 경우 제2호 사유로 불기소처분이 내려지지 않으면 군사법원에 위헌심사를 신청한다.
군사법원이 청구인의 청구를 기각하자 이들은 해당 사건에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헌법재판소 판결요지) 헌법재판소는 ‘공동폭행’과 ‘군기지·군사시설 내에서 군인간 폭행’죄를 타인에 대한 무력행사죄에 해당한다고 봤다.
타인의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 ‘신변안전’이 주된 법적 이익이지만, ‘군부대와 군사시설 내에서 군인간 폭행죄’는 다르며 ‘기율을 유지하고 규율을 유지할 권리’가 있다.
군사 조직의 전투 효율성은 보호의 주요 법적 이익입니다.
군 조직의 집단성 특수성으로 인해 피해자가 가해자 처벌을 원할 경우 다른 구성원들에게 피해를 입을 위험이 있고, 가해자와 피해자 간 합의에 상사가 참여한다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병영에서 복무하는 사람들의 신체와 안전을 보호해야 하는 국가의 의무에 비추어 볼 때 병영 내 폭력으로부터 징집병을 보호해야 한다는 입법부의 판단은 보기 어렵다.
, 병역의무를 헌법상 국방의 의무의 일부로 이행하는 것이 아니라, 헌법상의 광범위한 조직의 자유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형법상 형벌제도에서 형의 주체가 균형이 맞지 않아 형을 선고하는 것이 형평의 원칙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헌법적으로 보기 어렵다.
헌법재판소는 국민소추원칙의 예외로 형사정책적 고려를 위해 소추권을 행사하고, 형벌권을 유보함으로써 소추권 행사를 자기부죄나 부당한 처벌로 제한하는 보도자료를 냈다.
그러한 범죄 정책적 고려 하에서 입법부와 행정부는 “상당한 이익”을 갖는다.
“피해자에게 선택권을 주어 처벌권 행사를 제한하는 이익”이 아니라 “공정한 기소권과 처벌권 행사를 통해 얻은 이익”이다.
군부대·시설에서의 군인간 폭행에 대해 국가소추원칙을 적용한 것은 형벌제도의 균형과 평등의 원칙을 위반했다고 보기 어렵다.
국가와 군대 사이에는 양방향 의무와 책임이 있습니다.
“국가는 국방의 의무로서 헌법질서를 수호하는 병역의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병영에서 생활하는 징집병의 신체와 안전을 보호한다”는 결정문의 일부(헌법 제39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