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가지 새로운 임대법의 변경 사항에 대해 알아보세요.

세 가지 새로운 임대법의 변경 사항에 대해 알아보세요.

월세한도제, 계약갱신청구권, 월세신고제도 등 새로운 임대차 3법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오늘은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월별 한도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임대차 계약을 갱신할 때 임대료 인상 상한선은 기존 임대료의 5% 이내로 제한된다는 뜻이다.

또한, 임대료 등 최종 인상 후 1년이 지나면 청구가 가능하며, 법령에서 정한 5% 범위 내에서 시·도지사가 조례를 통해 별도 상한선을 정할 수 있다.

계약갱신청구권은 임차인이 기존 2년 계약이 종료된 후 계약을 연장해 원하면 4년 동안 체류를 연장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제도다.

2년 계약은 2년 연장이 가능하며, 계약 만료 1~6개월 전에 계약 연장에 대한 의견을 통보해야 합니다.

임대차 3법 중 하나인 월세신고제도는 계약 당사자인 집주인과 임차인이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보증금이나 금액을 주택 소유자의 시·군·구청에 신고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다.

거래가 완료된 날짜. . 각 항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계약갱신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임차인은 기간만료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집주인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남은 기간이 1개월 미만인 경우 행사가 불가능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 권리는 한 번만 행사할 수 있으며, 묵시적 갱신의 경우에는 해당 권리를 행사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신임대차3법에 따라 꼭 알아야 할 묵시적 갱신이란, 임대인이 기간 만료 시점에 거부 통지를 하지 않았다는 의미이므로 현재로서는 권리가 행사되었다고 볼 수 없다.

또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거절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실제 거주하는 경우를 포함해 총 9가지 경우에 집주인은 이를 거부할 수 있다.

금액의 상한은 종료금액의 5% 이내로 하며, 과거에 체결되어 현재까지 유효한 거래에서 집주인이 금액을 증액하거나 임차인이 계약갱신권을 행사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만료.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할 때에는 집주인이 임차인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집주인이 바뀌더라도 새로운 3대 임대차법에 따라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법 시행 전에 집주인이 바뀌었고, 새로운 집주인이 그곳에 살고 싶어할 경우에는 기존 세입자의 요구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유효기간 만료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거부의사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전월세 신고제도는 보증금, 기간, 계약금, 잔금납부일 등을 거래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지자체에 신고해야 한다.

별도의 확인일자를 받지 못하더라도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보고됩니다.

주민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쉽게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