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박성지·서우근 교수 연구팀, ‘뇌와 심장의 상호작용’ 밝혀낸 연구 결과 발표 뇌졸중 위치에 따라 심장 기능 손상, 지형 상관관계 가시화 왼쪽 두정엽 피질 일부 손상 기타 섬엽이 심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보다 심장 기능 장애 뇌졸중을 일으키는 뇌졸중 부위를 시각적으로 식별하는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심장 기능이 정상인 사람이라도 뇌졸중으로 인해 해당 부위가 손상되면 심장 기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뇌졸중 치료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뇌졸중센터 신경과 서우근 교수와 서큘레이터 영상센터 박성지 교수. 내과 교수이자 영상의학과 임상강사인 정다다 교수 연구팀은 “좌심실 좌심실 좌상 손상과 뇌졸중 병변 위치 사이의 지형학적 상관관계를 시각화해 뇌와 심장의 상호작용 증거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뇌는 심장의 자율신경 기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뇌 손상이 심장 기능 장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나, 어느 부위가 직접적으로 관여하는지에 대한 지형학적 보고는 없습니다. 특히 심장 기능이 정상인 사람이라도 뇌졸중 이후 심장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나 정확한 연관성은 알려져 있지 않아 임상 현장에서도 문제가 지적돼 왔다. 이에 연구팀은 호문클루스에서 영감을 얻어 대뇌피질에 심장 기능을 조절하는 특정 영역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감각 기관. 연구팀은 2017년부터 2017년까지 삼성서울병원 뇌졸중센터에서 급성 허혈뇌졸중 진단을 받고 입원치료를 받은 심장 기능이 정상(좌심실 박출률 50% 이상)인 뇌졸중 환자 286명을 대상으로 특수심장치료를 실시했다. 케어. 좌심실 긴장은 2차원 반점 추적 심장초음파를 사용하여 조사되었습니다. 좌심실긴장이란 특수초음파검사를 이용하여 좌심실의 움직임 변화를 측정한 값을 이용하여 좌심실의 기능을 확인하는 검사를 말합니다. 이후 연구팀은 손상된 좌심실 긴장과 지형적으로 관련된 뇌 병변 영역을 시각화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의 뇌를 검사했습니다. 자기공명영상(MRI)의 확산강조영상(DWI)과 겉보기확산계수맵(ADC map), 자체 개발한 영상분석 프로그램과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뇌경색 병변의 위치를 지형학적으로 파악하고, 머신러닝을 통해 SVR(기술)을 사용합니다. LSM)을 사용하였다.